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IEEE 802.16a WiMAX는 2003년에 IEEE 802.16으로 표준화된 광대역의 고정 무선 통신규격. 또, 이동체 전용으로 개량된 후계 규격을 포함한 총칭. 당초 책정된 WiMAX 규격은 IEEE 802.16 및 802.16a로서 알려진 고정계(설치 장소가 고정된 기기간)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1대의 안테나로 반경 30마일( 약 50km)을 커버해, 최대로 70 Mbps의 속도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하는 전파 주파수대는 802.16에서는 10~66GHz대, 802.16a에서는 2~11GHz이다. 옥내 등 근거리의 통신에 이용하는 것을 상정한 Wi-Fi(무선 LAN)와는 달리, 통신 사업자의 기지..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WiGig란, 주파수 수십 GHz의 밀리파대의 전파를 이용해 Gbps(기가비트) 클래스의 통신 속도를 실현하는 무선 LAN 규격. 당초의 규격에서는 60 GHz로 6Gbps 정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Intel사나 Microsoft사 등이 참가하는 업계단체 Wireless Gigabit Alliance가 규격을 책정한다. 밀리파대의 전파는 도달거리가 짧고 장애물에 약하기 때문에 같은 실내에 있는 기기끼리의 접속에 이용되게 된다.
Wi-Fi HaLow IEEE 802.11ah Wi-Fi HaLow 란, 무선 LAN(Wi-Fi)의 표준 규격의 하나로, 통신에 필요한 소비전력이 적고 광범위하게 널린 수천 대의 기기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것. IoT(Internet of Things:물건인터넷)이나 M2M(소품인터넷) 등에서 센서류나 감시·제어 장치 등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상정한 사양이 되어 있다. 통신 속도는 150kbps로 종래의 Wi-Fi규격에 비해 저속이며, 컴퓨터 등을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간이 사용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전자 기기나 센서 장치등의 원격 감시·제어등의 용도를 전망하고 있다. 1대의 액세스 포인트가 반경 1 km정도의 범위에 있는 최대 8000대 정도의 기기를 커버할 수 있고, 건물 내에서의 네..
PoE (Power over Ethernet) IEEE 802.3af PoE+ IEEE 802.3at 일명 파워오버 이서네트 802.3af 802.3at PoE이란, Ethernet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 전원을 얻는 것이 어려운 장소에 배치된 기기에 전력을 공급해 동작시킬 수 있다. 2003년에 표준화된 IEEE 802.3af와 2009년에 표준화된 802.3at이 있으며, 후자를 PoE+(플러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802.3at에서는 카테고리 5e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해, 송전측( 스위치등)으로 최고 57V/30W의 전력을 송신할 수 있어 수전측에서는 그 중 25.5W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통신·전력으로 핀을 공용하는 Type A와 통상은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핀을 전력용..
IEEE 802.1X이란? (네트워크 인증방법) IEEE 802.1X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컴퓨터등의 단말을 인증하는 방법을 정한 표준 규격의 하나. 정당한 등록 이용자만이 LAN(구내 네트워크)이나 무선 LAN(Wi-Fi)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이 통신하려고 하면, 네트워크의 말단에 있는 LAN 스위치나 액세스 포인트등이 인증을 요구하여, 완료될 때까지 인증정보의 송수신 이외의 통신을 거부한다. 단말은 요구에 따라 식별명(ID)이나 패스워드 등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스위치는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인증 서버(RADIUS 서버 등)에 문의하고, 정규 이용자임을 확인하면 통신을 허가한다. IEEE 802.1X를 이용하려면 단말(클라이언트) 측에 "서플리컨트"(supplicant)라고 불리..
IEEE 802.1Q란, dot1q IEEE 802.1Q란, IEEE에 의해서 표준화 된 VLAN(Virtual LAN:가상 LAN)의 규격. 각사가 독자 방식을 개발해 실장하고 있었지만,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표준 규격으로서 제정되었다. 주로, 각 VLAN 그룹에 고유의 식별번호(VLAN ID)를 할당해, 이것을 프레임내에 격납해 식별하는 "VLAN 태깅"(VLAN tagging)의 방법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복수의 스위치를 넘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어도, 이 VLAN ID를 참조하는 것으로, 그 프레임이 어느 VLAN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현재는 VLAN을 실장하는 스위칭 허브의 대부분이 IEEE 802.1Q에 대응하고 있다.
Ethernet OAM (Ethernet Operations, Administration, Maintenance) IEEE 802.1ag Y.1731 이서네트 OAM802.1agEOAM Ethernet OAM이란, Ethernet의 확장 사양의 하나로, 네트워크의 운용·관리·보수를 지원하는 기능에 관한 것.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위치나 케이블 등이 적절히 동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기능으로, 어떤 스위치에서 다른 스위치까지의 링크가 유지되고 있는지 검사프레임을 정기적으로 흘려 상시 감시하거나, 구석에 있는 스윗치에서 반대 끝에 있는 스위치로 메세지를 보내, 정상적으로 반송되는지를 조사하거나 경로상의 모든 스위치에 응답시켜 비정상적인 기기가 없는지 조사하거나 할 수 있다. IEEE가 IEEE 802...
11b IEEE 802.11 High-Rate IEEE 802.11b란, IEEE(미국 전기전자 학회)에서 LAN 기술의 표준을 책정하고 있는 802 위원회가 정한 무선 LAN의 규격의 하나로, 2. 4GHz대의 무선으로 약 11Mbps의 통신을 행하는 사양. 단순히 '무선 LAN'이라고 말했을 경우에는 이 규격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정식에는 IEEE 802.11 High-Rate Direct Sequence라고 불리며 단순히 IEEE 802.11 High-Rate라고 말하기도 한다. IEEE 802.11b는 무선면허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2.4GHz대의 전파(ISM밴드)를 사용해, 11 Mbps의 속도로 50m~100m 거리에 있는 단말간에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종래의 "IEEE 802...
8비트 컬러란? (8-bit color 256색) 8비트 컬러란, 컴퓨터상에서의 색의 표현 방법의 하나. 하나의 화소(픽셀)에 대해 8비트인 색정보를 갖게하는 방식으로 최대 256색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니고로 등이라고도 불린다. 16비트 칼라(65536색)나 24비트 칼라(1677만색)등의 다색 표시 모드보다 그림 속도가 빠르고, 능력이 낮은 컴퓨터라도 취급할 수 있다. 다만, 그라데이션이나 바가지등의 연속적인 색의 변화는이 때문에 8비트 컬러에서도 아름다운 화면을 얻을 수 있도록 오차 확산법이나 디더링 등의 기술이 병용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PC나 액정 패널등의 고성능화가 진행되어, 자연화를 표시할 수 있는 다색 표시가 일반적이기 8비트 컬러를 보이는 것은 거의 없어졌다.
-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상담
- 무료 드라마보기
-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 증여세 면제 한도액
- 2020년 최저시급
- 합의 이혼서류 양식
- 고순도 불화수소
- 조기폐차 지원금 2019
- 자동차검사기간 조회
- 불화수소 생산업체
- 로얄 살루트 21년산 가격
- cj대한통운 택배조회 전화번호
- 대만 여행하기 좋은 달
- 로얄 살루트 21년산 면세점 가격
- 서울 장애인콜택시
- 불화수소 국산화
- 송가인 용두산엘레지
- 버드리품바 공연 동영상
- 농지원부 인터넷발급
- 열대야 기준온도
- 서울 장애인 콜택시 이용방법
-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신청방법
- 벼룩시장 신문그대로보기
- 바퀴벌레 퇴치방법
- 로또 당첨 번호 2개 맞으면
- 도시락 반찬 종류
- 구글어스 한글판 무료 다운로드
- cj대한통운 택배조회 스미싱
- cj 대한통운 택배조회번호
- flex 해버렸지 뭐야 뜻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